반응형
언리얼 엔진의 머티리얼은 기본적으로 다양하고 완성도 있는 셰이딩 모델을 제공하고, 유니티보다 훨씬 직관적이기에 셰이더에 대한 지식이 적은 디자이너도 쉽게 퀄리티 높은 머티리얼을 만들 수 있습니다. 피부, 젤리 등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Subsurface 셰이딩 모델도 기본적으로 제공하기에 손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 우선 콘텐츠 브라우저를 우클릭해 머티리얼을 하나 생성합니다.
- 머티리얼을 열고 디테일 창에서 'Shading Model'을 'Subsurface'로 설정합니다.
- 저는 오브젝트를 스태틱으로 설정해 라이팅 빌드를 해 사용하고 싶으므로 아래로 내려가 'Used with Static Lighting'을 체크해 줍니다.
- 이제 그래프로 가서 'Base Color', 'Subsurface Color' 슬롯에 컬러를, 'Specular', 'Roughness', 'Opacity', 에 상수를 각각 연결해 주고 파라미터로 변환해 줍니다.
- 각 파라미터의 이름은 아래와 같이 해도 되고 편한 대로 지정하면 됩니다.
- 필요에 따라 Normal이나 AO를 사용해도 됩니다.
- 중요한 부분은 '오파시티', 'Subsurface Color' 두 가지 부분입니다. 빛을 얼마나 투과할지, 어떤 컬러로 투과할지 결정합니다.
- 머티리얼 인스턴스를 만들어 창을 열어보면 벌써 그럴듯한 반투명 플라스틱처럼 보입니다.
- 실제 메쉬에 적용한 모습입니다. 루이스폴센 판텔라 조명에 만든 플라스틱 머티리얼을 적용하고, 안에 포인트 라이트를 배치해 빛이 투과되는 반투명 플라스틱을 표현해 보았습니다.
반응형
'Unreal Engine Shader & Mater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Engine 유리 재질 굴절 표현 : Glass with Refraction (0) | 2023.02.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