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bject : 오브젝트 좌표계의 위치로, 오브젝트의 XYZ축 기준으로 중심이 0, 가장 바깥쪽이 0.5 입니다.
View : 스크린 좌표계의 위치입니다.
World : 해당 렌더 파이프라인의 월드 좌표계의 위치입니다.
Tangent : 각 면의 탄젠트 방향의 위치입니다.
Absolute World : 렌더 파이프라인에 관계 없는 절대좌표 위치입니다.
Position 노드를 활용해 움직이는 Object 만들기
기본적으로 Shader graph의 vertex Position은 Object Space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이 Object Space의 값을 변화시켜 Object를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먼저 Position 노드를 생성한 후 Split으로 각 채널을 분리해 줍니다. 그리고 Y축에 해당하는 'G' 에 Time 노드의 'Sine Time'과 더해줍니다. 그리고 다시 Combine 노드로 묶어줍니다. Combine의 'RGB(혹은 RGBA)'를 Vertex의 Position에 연결해 줍니다.
이 셰이더를 오브젝트에 적용하면, Y축으로 상하운동하는 오브젝트로 만들 수 있습니다.
Position 노드를 활용해 고도와 탄젠트 방향 따라 다른 텍스처를 적용하는 셰이더 예시입니다.
반응형
'Unity Shader Graph'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Shader Graph : Time 노드 (0) | 2023.03.08 |
---|---|
Unity Shader Graph : 행렬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