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GIS 설치하기
- QGIS 다운로드 링크
좌표계 설정
프로젝트 좌표계와 데이터의 좌표계가 일치해야 데이터가 정확한 위치에 표현됩니다. 레이어를 추가했을 때 데이터가 보이지 않는 경우는 좌표계가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미 생성된 데이터의 좌표계를 맞추기 위해서는 벡터 데이터는 레이어 재투영, 래스터 데이터는 워프(재투영) 기능으로 대상 좌표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구글, OSM, 브이월드 등에서 사용하는 WGS84 / EPSG3857 투영좌표계로 프로젝트 좌표계를 맞춥니다.
(프로젝트 - 속성 - 좌표계)
API 등록
TMS for Korea
QGIS 플러그인 중 TMS for Korea를 등록하면 카카오, 네이버, 브이월드 맵 API를 올려볼 수 있습니다. 상단 메뉴 바에서 플러그인-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설치되지 않음 탭에서 tms를 검색해 설치합니다.
Vworld API
QGIS에 브이월드에서 제공하는 API를 등록해 봅니다. 브이월드에서는 GIS 데이터 활용 교육과 더불어 인증키를 받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API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다양한 공간 정보 API를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니 링크를 참고해 꼭 등록해서 사용합니다.
- 브이월드 API 추가 및 사용법 링크
API를 추가하고 나면 제공하는 여러 데이터를 QGIS 화면 위에 올려볼 수 있습니다.
Vworld WMS는 속성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WFS만 속성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물 데이터 레이어 추가하기
Vworld WFS의 '도로명주소건물' 레이어를 추가합니다. 레이어를 우클릭해 속성테이블을 열어보면 각각의 개체들은 속성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속성 테이블의 'gro_flo_co(지상층수)' 속성정보 이용해 대략적인 건물의 높이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속성테이블 정의는 이전 글 참고). '도로명주소건물'은 API로 불러오는 데이터라 로드 속도가 느립니다. 좁은 지역만 필요할 경우 휠을 움직이면서 건물 데이터를 로드해 따로 저장해도 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파일로 받아 추가해 보겠습니다.
QGIS로 API 데이터를 불러오는 방법과, 저장된 파일(주로 .shp 파일)에서 데이터를 불러오는 방법이 있습니다. API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으로, 한 번 연결해 놓으면 프로그램을 열 때마다 기본적으로 탐색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방대한 데이터의 경우 불러오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저장된 파일에서 불러오는 방법은 파일을 따로 관리하고 불러와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PC 저장장치에서 바로 불러오기 때문에 방대한 데이터도 바로 업데이트됩니다.
오픈마켓에서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도로명주소 건물'의 서울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QGIS에 올립니다.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오기 때문에 데이터가 한 번에 로드됩니다. 프로젝트에 사용할 데이터들을 한 경로에 모아놓으면 작업하기 편합니다.
데이터 링크 : http://data.nsdi.go.kr/dataset/14783
수치지형도나 공간정보 데이터를 얻는 경로는 많지만, '국가공간정보포털 오픈마켓'에 여러 정부부처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 데이터들이 모여있어 웬만하면 이곳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회원가입 필요)
http://data.nsdi.go.kr/dataset
'QGIS로 3D 지도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치표고모형(DEM)으로 3D지형 만들기 2 (0) | 2022.12.27 |
---|---|
수치표고모형(DEM)으로 3D지형 만들기 1 (0) | 2022.12.27 |
QGIS로 공간 정보 데이터 편집하기 (0) | 2022.12.27 |
QGIS 데이터 셋 (0) | 2022.12.26 |
QGIS로 3D 지도 제작기 (0) |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