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GIS로 3D 지도 만들기

QGIS로 건물 3D 제작하기

by kimswong 2023. 1. 3.
반응형

건물 3D 높이 정보 지정하기

레이어를 우클릭해 속성을 열고 3D뷰 탭으로 이동합니다. 드롭다운 메뉴에서 단일 심볼을 선택하고, 돌출값에 필드유형-GRO_FLO_CO를 세팅합니다. 고도 클램핑을 지형으로 세팅하면 건물이 DEM지형에 맞게 위치되고 층수*3m 높이가 적용됩니다.

 

3D뷰로 확인한 모습. QGIS가 50~70만 개의 건물 데이터를 연산하기엔 최적화된 프로그램이 아니라 데이터가 깜빡거리며 나타납니다. 내보내기 시에도 일부 영역의 건물이 누락되기 때문에 구 별로 건물 데이터를 나눠서 내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글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필요한 부분의 데이터를 잘라내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OBJ로 내보낸 후 3Ds Max에서 열어본모습(텍스쳐 미적용)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는 QGIS와 지리정보 데이터로 실제 지형 및 단순한 건물의 3D를 제작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QGIS는 훨씬 많은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서울 지형과 건물 3D를 빠르게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 글을 정리했습니다. 건축, 시각화 분야에서 콘타 제작, 시뮬레이션 등의 작업에 능률을 높일 수 있을 거라 기대합니다.

 

강남구 3D 모형. 녹지, 강, 도로 등 지리/공간정보를 활용해 빠른 모형 제작이 가능하다.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건물 용도 코드에 따라 색상을 구분한 예시.
건축 시각화에서 배경으로 활용한 예시

 

 

 

반응형